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SE 설치하기 = Solution Enabler (중요)
http://support.emc.com 에서 se7610-Linux-i386-ni.tar.gz 받아서 넣기
tar -xvf 로 압축 풀어서
#./se7610_install.sh -install
설치후 Path 잡기
#PATH=$PATH:/usr/symcli/bin
#export PATH
확인 방법
#symcfg discover -symmetrix
#symcfg list -status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SE를 설치하면 VMAX에 unbound 된 볼륨들을 구성할 수 있다.
#symdev list ===== VMAX 에 있는 Volume 을 확인 할 수 있다.
#vi makemeta.txt ===== 해당 파일을 만들어서 명령어를 넣을 것임
Form mera from dev (첫번째 meta symID), config=concatenated;
add dev (두번째 Device symID) to meta (첫번째 Device symID);
add dev (세번째 Device symID) to meta (첫번째 Device symID);
#symconfigure -sid (symID) ===== 실행하냐는 질문에 [y] 누름
#symdev list -meta ===== meta 볼륨 확인 명령어
#symconfigure -sid (symID) -cmd "bind tdev (Device ID) to pool (pool이름);" commit ===== 해당 볼륨 bind 명령어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할당 명령어
#symaccess discover hba ===== Host의 HBA 카드 검색 및 DirP 넘버확인 (Initiator 구성시 필요)
#symaccess list hba ===== Host의 HBA 카드 정보 확인
* Port Group 만들기
#symaccess -sid (SymID) create -name (Port Group 이름) -type port -dirport (DirP넘버) ===== Port Group 생성
* Initiator Group 만들기
#symaccess -sid (SymID) create -name (Initiator Group 이름) -type initiator -wwn (WWN) ===== Initiator Group 생성 (필요 WWN 다등록 해야됨)
* Masking View 만들기 (본격 할당)
#symaccess -sid (SymID) create view -name (M.V이름) -pg (Port Group이름) -sg (Storage Group이름) -ig (Initiator Group이름) ===== Host에 볼륨 보임
* 확인 명령어
#symaccess -sid (SymID) list view -n (Masking View이름) -detail ===== Masking View 상태확인
#symaccess -sid (SymID) list logins ===== Login 상태 확인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Host 에서 할당을 받은 후 (Linux)
1. modprobe 로 reload 하기
#modprobe -r lpfc
#modprobe lpfc ===== 리로드
2. SCSI 변경으로 reload 하기
#dmesg | grep scsi | more
#cd /sys/class/scsi_host/host0 ===== host0 번에 들어가서
#ls -al scan ===== scan 파일을 찾아서
#echo '- - -' > scan ===== 이 명령어로 스캔이 됨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'Stora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isk Fault (디스크 장애) 란 무엇일까요? - 하드웨어편 (0) | 2022.03.10 |
---|---|
RAID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요? (0) | 2021.04.23 |
RAID 란 무엇일까요? 그리고 왜 사용하는 것일까요? (0) | 2021.04.22 |
VMAX / PowerMAX 스토리지 남은 용량 사용량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0.09.27 |
Power Path 라이센스 찾기 및 적용하기 (0) | 2020.08.05 |